모든 비지니스는 브랜딩이다.

상품이 아니라 가치를 팔고자 하는 모든 기업의 지침서!

 브랜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하물며 작은 동네빵집도 ‘브랜드’ 없이는 살아남기 힘들지 않은가. 기업들이 내놓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이 우열을 가리기 힘들 만큼 엇비슷해지면서, 이제는 소비자의 마음에 어떠한 인식을 심어주느냐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고 있다. 브랜딩을 단순한 마케팅 기법이나 네이밍 등으로만 여겨서는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든 것이다. 

많은 이들이 브랜딩의 중요성을 알고는 있지만, 정작 ‘Why’에 대한 이해 없이 흉내만 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 책은 성공한 기업들이 어떻게 브랜딩에 성공하게 되었는지, 나아가 어째서 브랜딩이 중요한지를 쉽고 친근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에 더해 브랜드 컨셉을 어떻게 기업문화로 녹여낼 수 있는지까지 다루고 있어,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모든 기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프롤로그. 어떻게 소비자의 마음에 들어설 것인가
- 마케팅, 품질이 아니라 인식의 싸움이다
- 브랜딩, 의미를 부여하고 재미를 만끽하게 하라


1부. 브랜드 탄생 : 제품에 의미를 입히다
1장. 업의 본질, 고객의 관점에서 바라보라 : CUSTOMER-ORIENTATION 

우리는 지금 무엇을 팔고 있는가
‘무엇’을 사는지가 아니라 ‘왜’ 사는지를 생각하라


2장. 응축해야 핵심이 보인다 : CONDENSATION 
임팩트 있는 ‘한마디’를 찾아라
짧게 줄인다고 응축은 아니다


3장. 꽃은 보이지 않는 뿌리에서 생겨난다 : CREATIVITY 
전략이 크리에이티브를 리드해야 한다

창의성을 원한다면 정석부터 익혀라 


4장. 낙수가 바위를 뚫는다 : CONTINUITY
한번 정한 컨셉은 끈기 있게 밀고 가라
기본은 유지하되, 끊임없이 변신하라


5장. 햄버거로 유인하고 콜라를 판다 : COMBINATION
어떤 비즈니스든 품목간 조화가 필요하다
브랜드 확장은 컨셉을 기반으로 하라


6장. 컨셉은 비즈니스의 정신적 나침반이다 : CONSISTENCY
계량적 목표는 비전이 아니다
좋은 비전은 개념을 담고 있다



7장. 확고한 컨셉이 주인의식을 낳는다 : COMPLEMENTARITY 
컨셉이라는 큰 그림을 그려주어라
컨셉은 비즈니스의 정신적 기둥이다

1부를 마치며. 컨셉은 브랜드의 ‘영혼’이다 
체크리스트
컨셉 없는 제품은 영혼 없는 인간과 같다


2부. 브랜드 체험 : 의미에 재미를 더하다 
8장. 꼭 필요한 것만 사는 것은 아니다 : EXTRINSIC MARKETING

사회적 지위를 표현하려는 욕구
개성을 표현하려는 욕구 
소속감을 느끼려는 욕구 
자기만족의 욕구
기쁨을 주고 싶은 욕구



9장. 머리가 아닌 마음에 호소하라 : EMOTIONAL MARKETING
행동을 유발하는 것은 머리가 아니라 가슴이다 
어떻게 소비자에 다가갈 것인가
여덟 가지 정情에 호소하다
팔정의 활용사례
감정의 빈 곳을 찾아라



10장. 화성에서 온 마케터, 금성에서 온 고객 : EMOTIONAL MARKETING
화성에서 온 마케터
사람을 끄는 매력의 원천, 공감

공감, 감지와 소통이 답이다
공감의 4단계 절차
EQ를 높여라

11장. 아름다움이 힘이니라 : ESTHETICS MARKETING

미학적 디자인, 기능에서 느낌으로
국가의 경쟁력, 디자인
기업을 살리고 죽이는 디자인
컨셉에 따라 디자인은 달라져야 한다
공학적 디자인, 소비자 체험을 더 쉽게
디자인을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하라


12장. 호랑이는 가죽을 남기고, 브랜드는 스토리를 남긴다 : EPISODE MARKETING
스토리는 감성을 자극한다
에피소드로 메시지를 극대화하라 
에피소드 효과의 원리를 이해하라
스토리 활용상 유의점 
스토리의 소재는 어디에나 있다 


13장. 고객과 희로애락을 함께하라 : ENTERTAINMENT MARKETING
고객의 일상을 파고들어라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14장. 브랜드에 인성人性을 불어넣어라 : EGO MARKETING
소비자를 끄는 것은 인성이다

퍼스낼리티와 페르소나
다섯 가지 대표적 페르소나


2부를 마치며. 보이지 않는 요소에 눈을 돌려라 
체크 리스트 
지식을 뛰어넘어 상상하고 실천하라
에필로그. 마케팅은 행복한 마술이다
결국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려 있다







어느 광고대행사의 기획자에게서 들은 말입니다. 클라이언트(광고주) 기업의 사장이 외국에 출장갔다가 호텔 TV에서 우연히 본 광고가 좋았던 모양입니다. 그러더니 그 광고의 녹화 테이프를 대행사에 가져다주면서 자기 회사의 광고도 이것처럼 해달라고 부탁하더랍니다. 이렇게 전략은 잠시 잊어버리고 크리에이티브만 흉내 내려는 경우를 드물지 않게 봅니다. 그러다 보면 마케팅이 방향을 잃고 표류하게 되지요.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멋진 광고나 제품 디자인, 히트 친 모델 등은 사람들의 눈을 끄는 아름다운 꽃과 같습니다. 그런데 그 꽃이 아름답다고 똑같이 흉내내어 만들면, 그건 죽은 조화에 불과하겠죠. 꽃은 어디에서부터 생겨납니까? 보이지 않는 뿌리에서 생겨납니다. 꽃은 그 표현, 즉 크리에이티브입니다. 뿌리는 전략이고요. 사람들이 무슨 생각으로 그렇게 했는지 하는 전략은 벤치마킹할 수 있어도 크리에이티브를 모방해서는 성공할 수 없습니다.
현대카드가 카드회사로서는 생각지 못했던 디자인이란 이슈를 들고 나오자, ‘디자인 경영’이란 이름 아래 많은 회사들이 모방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왜 그렇게 했을까?’에 대한 이해 없이 흉내만 내서는 성공할 수 없습니다. 가령 카드들을 왜 알파벳 숫자 컬러로 나눴을까에 대한 고민 없이 그들의 크리에이티브만 모방하려 드는 기업들을 보면 안타깝습니다.---‘꽃은 보이지 않는 뿌리에서 생겨난다’ 중에서

혹시 ‘사자’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십니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자라고 하면 갈기를 휘날리며 사냥하는 모습을 먼저 떠올립니다. ‘독수리’라고 하면 언제나 힘차게 날아다니는 것을 연상하는 것처럼요. 하지만 사자는 거의 하루 종일 잠을 잡니다. 깨어 있을 때조차 대부분 어슬렁거리다가 사냥할 때 잠깐 뛸 뿐입니다. 독수리도 날 때보다 앉아 있을 때가 훨씬 더 많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떠올리는 이미지는 다릅니다. 이처럼 사람들은 특징을 잡아 기억하기를 좋아합니다.
브랜드도 마찬가지입니다. 강한 브랜드가 되려면 사람들의 머리에 간판 제품의 특징을 심어주어야 합니다. 사람들은 그 간판 제품의 컨셉, 즉 홍보용 제품의 이미지로 그 브랜드를 기억하기 때문입니다. 오리온이 제과업체로서 굳게 뿌리를 내린 데는 초코파이의 공이 큽니다. ‘정情이미지의 후광으로 제품품목을 확장(brand extension)시켜 지금은 스낵류, 비스킷, 초콜릿, 캔디, 치클껌 등 다양한 품목들이 오리온이라는 브랜드를 달고 잘 팔려나갑니다.---‘햄버거로 유인하고 콜라를 판다’ 중에서

원츠를 자극하는 것이 꼭 비싼 명품에만 해당되는 건 아닙니다. 청심환 아시죠? 우황이나 산약 등 여러 한약재로 만든 환약으로 중풍이나 뇌졸중 등에 쓰는 위급약입니다. 어쩌다 한 번씩 먹는 약인데, 일 년 중 몇 월에 가장 ‘니즈’가 높을까요? 아주 추운 12월보다 추워지기 시작하는 11월에 그 수요가 많은 모양입니다만, 그러면 언제 가장 적게 팔리겠습니까? 아주 더운 8월 같은 때는 일사병 등으로 오히려 수요가 좀 있고요, 날이 따뜻해지는 5월에 수요가 가장 떨어집니다. 그러니 5월에 매출이 가장 적겠죠? 헌데 그렇지 않습니다. 월별로 따지면 5월에 매출이 가장 많답니다. 왜 그럴까요?
11월에 할아버지가 쓰러지시면, 손주가 약국에 뛰어가 기껏해야 한두 알 사옵니다. 그러나 당장 쓰일 일은 적지만, 5월에는 어버이날이나 스승의 날 선물로 사기 때문에 10개 묶음으로 포장된 걸 사갑니다. 기능만 생각하며 판매하려고 했을 땐 보이지 않던 시장이 생겨나는 겁니다.
이처럼 니즈에 국한되지 않고 원츠를 보면 새로운 시장이 보입니다. 이제 마케팅은 욕구를 자극할 아이디어를 찾는 아이디어 게임이라 볼 수 있습니다. 〈러브 액추얼리〉라는 영화를 보면, 주인공이 관심 있는 여성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무엇을 받고 싶은지 묻습니다. 그러자 그 여성이 이렇게 말합니다.
“필요한 것보다 제가 원하는 것으로 주세요.”
‘니즈’가 아니라 ‘원츠’가 이 시대의 가치임을 대변해주는 말이 아닐까요.---‘꼭 필요한 것만 사는 것은 아니다’ 중에서

디자인 마케팅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내용은 디자인을 마케팅에 잘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죠. 디자인이 세계적인 핫 이슈가 되었던 2002년, 세계적 경제지〈포브스Forbes〉가 전 세계 럭셔리 브랜드luxury brands에 순위를 매긴 바 있습니다. 이 랭킹에 들기만 해도 대단한 거죠. 대부분 알 만한 명품들입니다. 20위의 아르마니부터 랑콤, 조니워커, 루이비통, 메르세데스 벤츠, 롤렉스, 샤넬 등….알려진 명품 브랜드는 다 있네요. 그런데 그중에서 유독 눈에 띄는 브랜드가 있습니다. 바로 1위를 차지한 ‘앱솔루트 보드카’입니다. 사실 앱솔루트는 최상품도 아닙니다. 북유럽이나 러시아 사람들이 높게 평가하는 보드카는 따로 있습니다. 멋진 디자인의 병 모양이 독특하긴 합니다. 다른 술병처럼 종이 레이블을 붙인 게 아니라 브랜드를 양각으로 새긴 데다 병과 글자색의 조화도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술병의 독특한 디자인만으로 세계적인 럭셔리 브랜드들을 제치고 1등을 한 건 아니겠죠.
이들은 독특한 병 디자인을 마케팅에 십분 활용했습니다. 병 모양을 패러디한 미술 시리즈(Absolut art campaign), 도시 시리즈(Absolut city campaign), 계절 시리즈(Absolut season campaign) 등의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의 흥미를 극도로 유발한 것이죠. 가령 도시 시리즈는 각 도시의 특징을 병 모양과 연결시킨 기발한 광고로 사람들의 흥미를 자아낸 것입니다. 앱솔루트 에든버러는 스코틀랜드의 고유의상을 활용한 광고인 것 같습니다. 암스테르담에 가면 안네 프랭크가 살던 집이 있는데, 이를 눈여겨보면 앱솔루트 병 모양처럼 보입니다. 로마의 경우 영화〈로마의 휴일〉에 나오는 유명한 스쿠터를 병 모양으로 재치 있게 표현했네요.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건축가 가우디의 도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앱솔루트 바르셀로나는 가우디의 건물벽화 모양으로 보드카 병을 그린 것이 눈에 띕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대 미대 정시 기출문제(2012~2017)

자세 균형 잡아야 병이 없다.

앤드루 와이어스 Andrew Wye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