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우버인 게시물 표시

구글·우버·그랩·NASA…`모빌리티 혁명`을 만난다

이미지
우버 `플라잉 카` 개발대표 상용화 앞둔 현주소 발표 NASA 항공권위자도 방한    공유산업을 일으켜 창업 10년 만에 기업가치가 720억달러로 성장한 우버. 이 기업의 가치는 인구 5400만명인 미얀마의 국가 전체 국내총생산(GDP)과 맞먹는 규모가 됐다.  우버가 이제 새롭게 도전하는 분야는 하늘이다.      지상에서 새로운 혁명을 보여준 우버는 이제 `플라잉 카` 시대를 선도하며 하늘 위 혁명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10월 10~12일 서울 신라호텔·장충아레나에서 열리는 제19회 세계지식포럼에는 우버처럼 모빌리티의 미래를 보여줄 대표 기업인들이 대거 참여한다. 에릭 앨리슨 우버 항공사업(엘리베이트) 대표가 대표적이다. 우버 세션에는 신재원 미국 항공우주국(NASA) 항공분야 연구개발관리 최고책임자가 좌장으로 참여한다. NASA에서 아시아계 최고위직에 오른 신 박사는 항공연구 분야에서 최고 권위자다. 에릭 앨리슨 대표 외에 이 분야 투자자인 레비테이트 캐피털의 피터 섀넌 대표가 참석해 경제적 타당성까지 종합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우버는 플라잉 카 서비스를 미국·일본·인도·브라질·호주·프랑스에서 2020년 이후 상용화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차량을 호출하듯이 우버 앱으로 플라잉 카를 호출해 목적지까지 가게 한다 는 것이다. 앨리슨 대표는 지난달 말 일본 도쿄에서 열린 행사에서 " 도쿄 신주쿠에서 요코하마까지 약 30㎞를 차로 출근하면 1시간30분이 걸리지만, 플라잉 카를 이용하면 30분 미만으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고 말했다.   신 박사는 "현재  개발 중인 대부분의 비행 가능 차량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고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며 "소음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해 인구가 밀집한 도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고 말했다.       구글에서도 새로운 모빌리티를 주도하고 있는 혁신가들이 참여한다.  ...

싱가포르, 우버·그랩에 106억 벌금…"공정경쟁 저해"

이미지
동남아시아의 차량호출 시장을 사실상 독점한 그랩과 이 회사에 동남아 사업을 넘긴 우버에 대해 싱가포르 당국이 "공정경쟁을 저해했다"며 106억원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했다. 싱가포르 경쟁·소비자위원회(CCCS)는 24일 우버에 658만 싱가포르 달러(약 53억8천만원), 그랩에 642만 싱가포르 달러(약 52억5천만원)의 벌금을 각각 부과했다고 현지 매체인 채널뉴스아시아(CNA)가 전했다. 양사는 지난 3월 우버의 동남아 사업 전부를 그랩에 넘기고 그랩은 합병회사 지분 27.5%를 우버에 주는 '빅 딜'에 합의했다. CCCS는 "양사의 거래로  그랩이 80%가량의 시장을 점유하고 경쟁사의 시장확대를 어렵게 하면서 이용요금을 10∼15% 인상했다"면서 "경쟁을 해치는 불가역적이고 완전한 합병을 단념시키려고 벌금을 부과한다"고 밝혔다. 당국은 또 "이용객이 받는 포인트와 운전기사들의 인센티브 등이 줄어 수많은 민원을 접수했다" 면서 그랩에 시정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운전기사들에게 다른 차량호출 업체를 동시에 이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 경쟁을 해치는 규정을 철폐하라고 요구했다. youngkyu@yna.co.kr  하노이=연합뉴스, 민영규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