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mobility revolution인 게시물 표시

구글·우버·그랩·NASA…`모빌리티 혁명`을 만난다

이미지
우버 `플라잉 카` 개발대표 상용화 앞둔 현주소 발표 NASA 항공권위자도 방한    공유산업을 일으켜 창업 10년 만에 기업가치가 720억달러로 성장한 우버. 이 기업의 가치는 인구 5400만명인 미얀마의 국가 전체 국내총생산(GDP)과 맞먹는 규모가 됐다.  우버가 이제 새롭게 도전하는 분야는 하늘이다.      지상에서 새로운 혁명을 보여준 우버는 이제 `플라잉 카` 시대를 선도하며 하늘 위 혁명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10월 10~12일 서울 신라호텔·장충아레나에서 열리는 제19회 세계지식포럼에는 우버처럼 모빌리티의 미래를 보여줄 대표 기업인들이 대거 참여한다. 에릭 앨리슨 우버 항공사업(엘리베이트) 대표가 대표적이다. 우버 세션에는 신재원 미국 항공우주국(NASA) 항공분야 연구개발관리 최고책임자가 좌장으로 참여한다. NASA에서 아시아계 최고위직에 오른 신 박사는 항공연구 분야에서 최고 권위자다. 에릭 앨리슨 대표 외에 이 분야 투자자인 레비테이트 캐피털의 피터 섀넌 대표가 참석해 경제적 타당성까지 종합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우버는 플라잉 카 서비스를 미국·일본·인도·브라질·호주·프랑스에서 2020년 이후 상용화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차량을 호출하듯이 우버 앱으로 플라잉 카를 호출해 목적지까지 가게 한다 는 것이다. 앨리슨 대표는 지난달 말 일본 도쿄에서 열린 행사에서 " 도쿄 신주쿠에서 요코하마까지 약 30㎞를 차로 출근하면 1시간30분이 걸리지만, 플라잉 카를 이용하면 30분 미만으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고 말했다.   신 박사는 "현재  개발 중인 대부분의 비행 가능 차량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고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며 "소음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해 인구가 밀집한 도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고 말했다.       구글에서도 새로운 모빌리티를 주도하고 있는 혁신가들이 참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