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페이크아트인 게시물 표시

샘바이펜

이미지
미쉐린, BIC, 오뚜기 등의 캐릭터를 재료 삼는 페이크 아티스트, 샘 바이 펜은 유머러스한 동시에 더없이 진지한 작가다. 꾸준히 개인전을 열고 L.A. 아트 쇼, 스콥 마이애미(Scope Miami), 아트 부산 등 다양한 아트 페어에 참가했을 뿐만 아니라  페인팅에서 시작해 디지털 작업, 설치와 그래피티 등으로 분야를 확장 중이다. 샘 바이 펜의 트레이드마크였던 미쉐린의 ‘비벨덤’ 외에 끊임없이 캐릭터를 창조하는 것도 예술적 방법론에 대한 고민의 결과다.  작가의 고유한 시선으로 재해석된 낯설고도 이질적인 캐릭터들. 사랑스러운 그들이 던지는 질문은 결코 가볍지 않다 . SNS에 올린 페이크 아트에 대한 정의가 흥미롭다. ‘상업화된 현대사회 속에 존재하는 우리에게 익숙한 것들이 미묘한 이질감으로 사람들에게 다가오는 순간이 내가 말하는 페이크 아트다’. 어릴 때 [포트리스] 게임을 즐겨 했었다. 한정된 캐릭터를 고르는 것이 익숙한 상황에서 나만의 캐릭터를 만들고 싶었다. 기존의 것을 토대로 간호사 콘셉트의 새로운 캐릭터를 그리곤 했다. 지금 하는 작업도 이와 비슷한 맥락이다.  교육이나 법으로 주입시킨 어떤 규정들, 그러니까 패러다임 밖에서 바라보는 것. 정답이 아니라 다른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페이크 아트에 대한 부정적 시선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장르를 불문하고  모든 예술가는 자신의 시선을 작품에 투영시킨다. 파고들면 각각의 메시지나 방식은 다르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자기가 보는 세계를 작품으로 제시하고 설득하는 거다. 그렇기 때문에 가치관이나 관점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옳고 그른 건 없다 고 생각한다. 미쉐린의 비벨덤 캐릭터를 변형시킨 스타일, 즉 패러디 아트적인 색깔은 쭉 가져갈 생각인가? 미쉐린을 벗어나기 위해 2년 동안 노력했다. 지금은 조금 더 단순화시키거나 나만의 캐릭터를 만드는 식으로 작업하고 있다. 앞으로 어떤 게 나올지는 모른다. 폴란드에서 고등학교 시절을 보냈고 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