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조기상인 게시물 표시

조기상 작가의 공예

이미지
국내에서 자동차를 비롯한 운송 기기 디자인을 전공한 조기상. 그는 2000년대 중반 이탈리아 디자인학교 IED에서 유학하며 요트 디자인을 공부했다. 이후 이탈리아의 주문 제작 요트 디자인 회사에 취직했고, 세계 요트 디자인 대회 MYDA(Millennium Yacht Design Award)에서 2008년부터 3년 연속 ‘국제 요트 디자인상’을 수상하며 이름을 알렸다. 특히 2010년 시상식에선 자신의 우상인 BMW 전 수석 디자이너 크리스 뱅글을 만나 집으로 초대받기도 했다. 하지만 크리스 뱅글은 얼굴이 한껏 상기된 그에게 대뜸 이런 질문을 던졌다. “한국 디자인의 특징이 뭐지?” 그는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한데 이후 엎친데 덮친 격으로(?) 세계 금융 한파가 닥쳤고, 요트 산업 역시 타격을 받아 그는 짐을 싸 한국에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한국에 왔지만, 그의 머릿속엔 크리스 뱅글의 질문이 끊임없이 맴돌았다. 2011년 한국에 돌아온 그는 오랜 친구들과 함께 브랜드 컨설팅 회사를 차렸다. 이는 지역의 인적ㆍ물적 자원을 분석해 그 가치를 키우고 브랜드화하는 회사였다. 그리고 2015년엔 또 다른 이들과 페노메노라는 회사를 차렸다. 그는 이곳에서 전국 곳곳을 누비며 농부나 장인을 만났고, 그들을 위해 디자인과 브랜딩 작업을 시작했다. 그런데 왜 그는 갑자기 이런 일을 시작했을까? “이탈리아에선 주문 요트 제작으로 단 한 사람의 만족을 위해 일했지만, 한국에선 다양한 이들을 위한 디자인을 경험할 수 있을 것 같아서였죠. 또 그걸 통해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디자인의 중요성도 느끼고 싶었고요. 쉽게 말해, 한 척에 1000억쯤 하는 호화 요트를 디자인하다 사과 한 알에 목숨 걸게 된 거죠. 물론 일은 재미있어요. 이탈리아에 있을 땐 자각하지 못한 한국인으로서의 ‘브랜드’와 ‘디자인 정체성’을 찾고 있기도 하고요.” 당시 그가 한국에 돌아와 가장 먼저 한 일은 경북 봉화의 사과 재배 농부에게 브랜드를 만들어주는 것이었다. 농장을 돌아다니며 영세한 농부와 대중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