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셰익스피어소네트인 게시물 표시

이미지극 두 귀재의 ‘강렬한 유혹’

이미지
ㆍ로베르 르파주의 ‘바늘과 아편’  ㆍ로버트 윌슨의 ‘셰익스피어 소네트’ 로베르 르파주의 ‘바늘과 아편’ 이미지극의 걸작 두 편이 잇따라 한국 무대에 오른다. 로베르 르파주(58)의 <바늘과 아편>은 9월17~19일 LG아트센터에서, 로버트 윌슨(74)의 <셰익스피어 소네트>는 10월15~17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한국 관객과 만난다. 이미지극의 귀재, 혹은 거장으로 불리는 두 연출가의 작품인 까닭에 관심이 쏠린다.   캐나다 출신의 르파주는 1984년 데뷔 직후부터 세계 연극계의 일관된 주목을 받아온 연출가, 배우 겸 작가이기도 하다. 특히 1991년 초연했던 <바늘과 아편>은 그에게 ‘천재’의 호칭을 부여했던 화제작이었다. 고독을 치유하려고 약물에 의존했던 시인 장 콕토, 20세기의 혁신적 뮤지션이었던 재즈트럼펫 연주자 마일스 데이비스의 삶을 극화한 연극이다. 첨단 테크놀로지의 과감한 사용, 압도적인 시각적 이미지의 구축으로 인간의 고독을 사무치게 그려냈다 는 평을 들었다. 이후 첨단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의 구축은 르파주의 트레이드 마크가 됐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형식이 품고 있는 “인간의 이야기”라는 평가 가 나온다. 연극평론가 김윤철(66·국립극단 예술감독)은 “르파주의 연극은 이미지가 매우 강렬하지만 관통하는 주제는 언제나 인간”이라며 “내러티브가 강한 작가, 테크놀로지와 휴머니티를 가장 빼어나게 융합하는 예술가”라고 평했다. 또 “첨단 기술을 과시적으로 도입하는 연출가들도 종종 있지만, 르파주는 언제나 아주 쉽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것을 활용한다 ”고 말했다.   르파주는 2007년 유럽극장연합과 국제연극평론가협회가 주관하는 유럽연극상을 수상하며 세계적 연극작가로 공인받는다. 1986년 시작된 이 연극상의 수상자들은 피터 브룩, 조르지오 스트렐러, 로버트 윌슨, 피나 바우슈, 레프 도진, 해롤드 핀터 등의 거장들이었다. 르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