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폴오스터인 게시물 표시

빵굽는 타자기

이미지
   작가들은 대부분 이중생활을 하고 있다 .  생계에 필요한 돈은 부업으로 벌고 ,  남는 시간을 최대한 쪼개어 글을 쓴다 .  명색이 작가인 자가 대학에 숨어서 고만고만한 생각을 가진 이들에게 둘러싸인 채 너무 평온하게 지내는것은 옳지 않다는 게 내 신조였다 . 상점에 들어가는 것은 변환적인 마력을 금전등록기에 불어넣는 연금술적 과정에 참여하는 거나 마찬가지였다 .  표현할 수 없는 욕망 ,  추상적인 욕구 ,  정체불명의 갈망이 일단 금전등록기를 통화하면 ,  그 모든 것이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유형의 물체를 바뀌어 나타났다 . 나는 지금도 이해할 수 없다 .  물론 돈을 절대로 돈 그 자체만이 아니다 .  돈을 언제나 돈 이외의 것이고 돈 그 이상의 것이다 .  그리고 돈을 언제나 최종결정권을 쥐고 있다 .  이 세상은 돈이 말한다 돈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돈의 주장에 따르면 ,  인생의 언어를 배울 수 있다 . 바깥세상은 정글 아닌가 ?  월 스트리트 한복판을 어슬렁거리며 걸어오는 저 드레퓌스 사자를 보라 그보다 더 분명한 메시지가 있을까 ?  먹느냐 ?  먹히느냐 ?  둘 중 하나다 .  그것이 정글의 법칙이다 .  식욕이 동하지 않으면 ,  늦기 전에 빨리 달아나라 한계를 넘으면 지푸라기 하나만 더 얹어도 낙타 등뼈가 부러진다 .  그 마지막 싸움은 내 마음에 상징적인 지푸라기로 남아있다 . 나는 중랑이 없는 핏발선 눈을 가진 생명이다 .  내면에서는 절망적인 격동이 파도처럼 굽이치고 ,  견해나 태도가 갑자기 정반대인   자제력을 잃지 않으려면 나무토막이 될 수 밖에 없었다 .  확실히 예의 범절을 갖고 있지만 기쁨을 함께 나눌 상대로는 별로 적당치 않다 . 두 사람은 평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