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로 만난 사회
파우스트에서 설국열차까지 제1부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위하여 - 시 민주화는 옛사랑의 그림자일까: 김광규 -「희미한 옛 사랑의 그림자」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위하여: 아담 자가예프스키 -「타인의 아름다움에서만」 4월 혁명의 날에 읽는 김수영의 시: 김수영 -「푸른 하늘을」 갑을관계를 생각한다: 정약용 -「적성촌에서」 느린 여행을 찾아서: 신경림 -「장자를 빌려 : 원통에서」 장년세대의 쓸쓸한 풍경: 황지우 -「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반인간적 학벌사회를 넘어서: 이성복 -「모래내·1978년」 라틴아메리카의 발견: 파블로 네루다 -「시」 제2부 다원주의적 상상력을 위하여 - 소설·희곡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어떻게 볼 것인가: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우리에게 미국이란 어떤 나라인가: 최인훈 -『화두』 G2 시대의 개막: 존 르 카레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 다원주의적 상상력을 위하여: 움베르토 에코 -『장미의 이름』 정전 60년을 생각한다: 윤흥길 -「장마」 가족의 의미: 유진 오닐 -『밤으로의 긴 여로』 역사에 대한 예의: 황순원 -「기러기」 캘리포니아에서 생각하는 ‘1대 99’ 사회: 존 스타인벡 -『분노의 포도』 이산가족 상봉과 고향의 의미: 루쉰 -「고향」 공론장, 인권, 민주주의: 하인리히 뵐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인류의 미래: 코맥 매카시 -『로드』 시대정신을 묻는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제3부 신자유주의의 극복을 위하여 - 음악 DMZ 기행과 한반도 평화: 김민기 -〈철망 앞에서〉 신자유주의의 극복을 위하여: U2 -〈I Still Haven't Found Wh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