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위의 정물화: 토카아트-959아트플랫폼 오픈스튜디오

이미지
신도림역 3층에 위치한 예술창작 공간을 오픈하여 작업실 공개 및 작가와의 만남 - 신도림역 2. 3층에 다양한 예술 작품 및 어린이 미술공모전 전시 - 지역주민과 지하철 이용고객에게 무료 사진촬영과 영화 상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   신도림역 선상역사 ‘959(구로구)아트플랫폼’은 초대작가 10명과 입주작가 17명이 참여하는 오픈스튜디오로 자신의 작업공간을 개방하고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로 일반 시민에게 오픈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Still Life on Station - 역사위의 정물화’ 라는 전시 주제로 ‘Still Life’는 미술장르의 ‘정물화’라는 뜻으로 거대하고 텅빈 선상역사에 입주한 젊은 예술가들이 각기 다른 예술적 감각으로 공간을 스케치하고 곳곳에 작품을 배치하여 하나의 공간적 캔버스로 활용하고 있다. 참여 작가들은 예술작품을 통해 지하철 이용객 등 관람객들에게 공간적 캔버스라는 하나의 4차원적 정물화(Still Life)를 선보이고자 한다. ​   구로문화재단에서 위탁하고 토카아트에서 운영하는 ‘959(구로구)아트플랫폼’는 창작공간 5개실로 나누어져 디자인, 판화, 사진, 공예, 서양화, 한국화, 일러스트 등 다양한 미술 장르로 구성된 입주작가  김선, 김수현, 김연, 김정원, 김종미, 김지원, 문세희, 박자울, 박지영, 양정아, 오희수, 이물질, 이승준, BBB, 조샘, 조지은, 함연우  등 총17명의 100여점 작품이 전시된다. 그리고, 특별 초대작가로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조각작가 김리현, 김성복, 김종필, 손선형, 안현준, 이재형, 이창희, 전강옥, 전신덕, 주동진 등 20여점의 조각 작품들이 선상역사 2층 곳곳에 전시되어 하나의 조각 공원처럼 작품을 무료 관람할 수 있게 된다. ​   이렇게 신도림역 복합문화공간 “문화철도959”는 오는 10월 17일(목), 오후 5시에 신도림 야외오페라하우스에...

뉴욕 사교계 사로잡은 인플루언서의 '민낯'…가짜신분·빚으로 호화생활

이미지
미국의 패션 잡지 배니티 페어(Vanity Fair)의 저서 '내 친구 애나'의 표지 사진. 윌리엄스는 배니티 페어에 뉴욕 사교계의 사기꾼 '애나 소로킨'의 이야기를 기고하며 그를 대중에 알렸다. 오늘도 어딘가에서 '인플루언서'를 초청해 호화로운 만찬을 제공한 행사가 열렸을 것이다. 인플루언서는 주최 측에서 준 의상을 입고, 자신의 일상인 양 이를 뽐내며 대중을 자극한다. 영향력이 부를 낳고 그 자본이 다시 영향력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지금 당신은 누구에게 관심을, 그리하여 권력을 쥐여줬는가. 그들은 지금 '안녕'한가. 【서울=뉴시스】양소리 기자 = 누구에게나 저마다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영향력 있는 개인)'가 있다. 누군가는 화려한 손재주를 가진 이를, 누군가는 맛있는 밥집을 찾아내는 사람을, 또 누군가는 멋진 글을 선보이는 사람을 인플루언서로 삼고 자신의 일상을 쪼개 그의 일상을 엿본다.    그러나 시각으로 모든 것을 결정하는 '인스타그램'의 시대의 인플루언서란 결국 호화로운 장소에서 화려한 모습을 한 이들을 일컫게 된 듯하다. 일반 대중들이 쉽게 범접할 수 없는 일상을 누리는 이들에게 우리는 '영향력'이라는 권력을 쥐여준다.  2013년 뉴욕 사교계에도 혜성같이 나타난 '인플루언서'가 있다. 독특한 유럽 억양을 구사하던 '애나 델비(28)'가 바로 그녀다. 그가 뉴욕 사교계 인사들을 사로 잡은 방법 역시 씀씀이에 있었다. 델비는 맨해튼의 고급 호텔에서 몇 달씩 머무르며, 고가의 의상과 액세서리를 장착하고 각종 행사장에 등장했다. 한 시간에 수백 달러에 달하는 개인 트레이너와 함께 운동을 즐겼다. 그의 인스타그램엔 세계 전역의 고급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즐기는 모습이 담겼다. 뉴욕에서 새로 사귄 친구들과 자신의 돈으로 고급문화를 즐겼다.   2017년 10월, 그의 화려했던 삶이 끝나기 ...

이재용, 부당 합병 비율로 2조 넘게 이득

이미지
특검, 대법원에 2차례 의견서 전달…"종합적으로 봐야" 검찰의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수사가 속도를 내면서 이른바 '국정농단 사건' 상고심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달 초만해도 두 사건을 별건으로 봐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검찰이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승계 작업과 관련된 여러 정황들을 포착했다고 밝히면서 이르면 다음 달 선고가 내려질 대법원의 국정농단 뇌물 사건 판단에도 영향을 미칠거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의 삼성바이오 수사가 급물살을 타면서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의혹 수사가 이 부회장의 뇌물공여죄 판결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 검찰은 지난 25일 삼성그룹 옛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후신인 삼성전자 사업지원 태스크포스(TF) 김모 부사장과 박모 삼성전자 부사장을 구속하는 등 윗선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의 바로 윗선은 정현호 TF사장으로 이 부회장의 최측근으로 통한다. 검찰은 정 사장을 이번 주에 소환하고, 김태한 삼성바이오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도 재청구할 것으로 보인다. ​ 검찰 수사의 핵심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이 부회장에게 유리한 조건이 되도록 제일모직 자회사인 삼성바이오 가치를 고의로 부풀렸는지의 여부를 캐는 것이다. 증거인멸이 누구의 지시로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들여다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 이 부회장을 뇌물공여 혐의로 구속기소 한 박영수 특별검사팀도 이와 같은 취지의 의견서를 2차례 대법원에 제출했다. 특검은 의견서를 통해 "삼성물산에서 정상적 합병을 할 경우 삼성물산 이익을 위해 해야 하는데 오히려 반대되는 행태들이 보인다"면서 "이 부회장 승계작업 말고는 해석할 길이 없다"고 주장했다. ​ 일각에선 삼성바이오 수사가 끝나지 않은 만큼 대법원이 판단을 늦춰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8일 라디...

도이치뱅크(Deutsche Bank) 올해의 작가 빅터 만(Victor Man)

이미지
Installation shot "Victor Man - Zephir", Courtesy of Deutsche Bank 도이치뱅크(Deutsche Bank)가 "올해의 작가(Artist of the Year, 2014)"로 루마니아 출신 작가 빅터 만(Victor Man, b.1974)을 선정했다. 고전적 아름다움과 현대적 감각이 혼합된 빅터 만의 작품은 작가 자신의 기억을 비롯해 신화와 예술사 등 복합적인 요소들을 반영하고 있으며, 인간과 동물, 남성과 여성, 친근함과 낮설음 등이 교차하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올해의 작가" 선정을 기념해 도이치뱅크 쿤스트할레(Deutsche Bank KunstHalle, 베를린)에서 진행중인 빅터 만의 이번 개인전에는 The Chandler(2013), Ohne Titel(2013), Untitled(Les Aubes, 2013) 등 회화 신작을 비롯해 빛과 색상 및 다층구조를 통해 입체적 느낌을 보여주는 스테인글라스 작품(Zephir, 2014, Stainglass, 455 x140 cm) 등이 소개되고 있다. 자신의 고향인 루마니아 북서부 도시 클루지(Cluj)와 독일 베를린에서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빅터 만은 2005년 프라하 비엔날레(Prague Biennale)와 2007년 베니스 비엔날레(Venice Biennale) 루마니아 전시관(Romanian Pavilion)에서 대표작가로 전시했다. 다양한 문화예술사업을 후원해오고 있는 다국적 은행 도이치뱅크(Deutsche Bank)는 지난 2010년 부터 매년 혁신적인 현대미술작가 1인을 선정해 개인전을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의 작가" 선정 작업은 국제적으로 유명한 큐레이터 4인으로 구성된 도이치뱅크 국제 예술자문 위원회(Deutsche Bank Global Art Advisory Council)가 주관하고 있다. Victor Man,...